보험과 손해사정88 해외 근무나 유학 등으로 해외 장기체류시 실손보험을 중지할 수 있나? 해외 장기체류시 실손의료보험의 중지 등 실손보험을 가입하고 있는 중 해외 근무나 해외 유학 등으로 해외에 장기간 체류시 별도의 해외 실손보험을 가입하죠. 그래서 국내 실손보험이 당분간 필요없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계속 유지하려면 보험료를 계속 납입 햐여야 하고, 그렇지 않으려면 국내실손보험을 해약해야되는 불합리함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국내실손보험을 일시적으로 납입 중지하거나 추후 중복되는 기간의 보험료를 환급받을 수는 없을까요? ▶납입 중지 또는 환급 제도 시행 실손의료비 보험에서는 해외에서 발생한 의료비에 대하여 보상 처리가 되지 않아 해외 장기체류 를 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해외 실손보험을 가입하기도 합니다. 이 때 가입자가 해외 장기체류를 하는 동안에도 국내 실손의료보험을 유지하려면 보험료.. 2022. 12. 23. 설계사가 알릴 의무 위반을 유도한 경우 설계사가 사실대로 고지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 등 고지의무위반을 유도한 경우 보험 가입 시 설계사에게는 중요한 사항을 알렸는데, 설계사가 기재할 필요가 없다고 해서 기재하지 않았는데 이런 것이 나중에 꼭 문제가 되죠. 그렇다면 나는 설계사에게 중요한 사항을 알렸는데 설계사가 알리지 않아도 된다고 해서 청약서에 기재하지 않았다면 이것은 계약 전 알릴 의무 위반이 될까요? ▶ 검토 의견 1)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험회사가 보험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보험계약자 와 피보험자는 보험계약과 관련된 개인의 중요한 사항을 알릴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상법(제651조)에서는 ‘고지의무’라고 하고, 각종 보험약관에서는 ‘계약 전 알릴 의무’라고 합니다. 보험계약자 등이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이 의무를.. 2022. 12. 23. 청약서 질문항목에 없는 사항의 알릴 의무(고지의무) 청약서 질문항목에 없는 사항의 알릴 의무 보험을 청약하면서 정형화된 청약서의 질문들에 대해 답을 함으로 알릴의무를 이행했는데도 불구하고, 추후 보험사에서 문제를 삼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보험 분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해 알릴의무와 관련된 의문점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약서 상의 질문항목에 없어서 고지를 하지 않았는데 나중에 보험사에서 이를 근거로 불이익을 주려하기도 하는데요, 예를 들어 , 다음과 같은 경우가 그렇습니다. ●고지 관련 질문항목에 장애인 여부는 없어서 기재하지 않았는데 괜찮은지요? ●10년 전 암 치료 완치 사실을 반드시 알려야 하나요? ●그 외에도 질문항목에 없는 것은 고지할 필요가 없는 건가요? ▶ 고지의무(계약전 알릴 의무)란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보.. 2022. 12. 23. 보험비교사이트와 다이렉트 보험의 보험료 비교 ◎보험비교사이트와 다이렉트보험의 보험료 비교 자동차보험을 가입하려는데, 인터넷 보험비교사이트와 보험회사 다이렉트보험 중 어디가 더 보험료가 저렴할까요? ▶ 인터넷 보험 비교사이트 인터넷 보험비교 사이트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만, 보험료 비교를 한 후 보험가입까지 가능한 사이트는 주로 보험대리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입니다. 이러한 사이트에서는 일반적으로 보험료 비교는 자동으로 산출되지만, 그 후 보험대리점 소속의 설계사가 상품 설명, 상품가입 등을 진행하므로, 이를 통한 보험 가입시 해당 보험료에는 설계사의 모집수당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보험비교사이트를 통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회사의 보험료 비교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부가보험료에 모집수당이 포함되어 있어 모집수당이 포함되지 않는 다이렉트보다.. 2022. 12. 22.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