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과 손해사정88

자동차 보험회사의 소송대행 여부 아래 내용은 손해보험협회의 상담사례로 자동차 보험회사의 소송대행 여부에 대한 실제 상담 사례 입니다. ▶ 자동차 보험회사의 소송대행 여부 1. 상담 내용 저는 종합보험에 가입하였고 상대방은 책임보험에 가입하여 있습니다. 저는 과실 7:3, 상대방은 6:4로 얘기하는데 저희가 피해자입니다. 1) 책임 보험과 종합 보험이 사고가 났을 경우 책임보험과 종합보험이 합의할 수 있는 기간(소멸시효기간)이 다른가요? 2) 제가 종합보험인데 자차(자기차량손해)가 없습니다. 과실비율 분쟁에서 자차가 없으면 제가 소송을 해야 한다던데, 저와 상대방 둘 다 대인을 접수해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인의 경우에도 과실의 비율이 필요하니까 제 종합보험에서 소송을 대행해 주나요? 2. 검토 의견 1) 소멸시효 법률상 불.. 2023. 1. 16.
자동차사고 과실 분쟁시 처리절차 교통사고 발생 후 가입한 보험회사에 자동차과실비율분쟁심의 접수를 요청하였는데, 보험회사에서는 자동차 수리 후 「자기차량손해」로 보험처리해야 과실비율분쟁심의를 청구할 수 있다고 하는데 사실일까? 과실비율분쟁심의 절차와 심의기간에 알아보겠습니다. ▶ 자동차사고 과실 분쟁시 처리절차 1. 과실비율분쟁심의위원회 손해보험협회에 설치된‘과실비율분쟁심의위원회’는 보험업법 제125조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가 인가한 「자동차사고 과실비율분쟁 등의 심의에 관한 상호협정」에 따라 보험회사 및 공제사간의 자동차보험사고로 인한 과실분쟁에 대한 심의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설치된 기구입니다. 이와 같이 과실비율분쟁심의는 보험회사간 상호협정에 근거하고 있으므로 심의의 당사자(청구인과 피청구인)는 개인이 아니라 협정당사자인 보험회사입니다.. 2023. 1. 15.
과실비율에 따른 자동차보험료 할증 차대차 자동차사고가 발생한 경우 과실의 많고 적음으로 다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보험료 할증에 차이가 발생한다면 과실비율에 매우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과실비율에 따른 할증 관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과실비율에 따른 자동차보험료 할증 1. 질문 자동차사고가 발생하여 상대방과 과실비율 문제로 분쟁 중입니다. 제가 피해자인데 70:30인 경우와 80:20인 경우 보험료 할증에 차이가 날까요? 2. 검토 의견 1) 자동차보험료 산출 자동차보험료는 일반적으로 종목별·담보별·차종별로 기본보험료(총보험금÷차량대수)를 산출하고, 피보험자 연령, 운전자 범위, 운행거리 등 다양한 차등화요소 및 보험가입경력과 사고경력에 따른 개별적인 위험(할인·할증제도)을 반영하여 산출합니다. 2) 할인·할증제도 할인.. 2023. 1. 15.
사고로 인한 자동차보험료 할증 우리는 예고치 못한 자동차사고에 대비해 자동차종합보험에 가입을 합니다. 가해자나 피해자 모두 이러한 자동차종합보험이 있어 사고로 인한 정신적·물적 대혼란을 막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동차사고로 인해 보험처리를 할 경우, 보험료가 할증이 되는데요 사고 종류에 따라 어떻게 할증이 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에 상담 사례를 통하여 자동차보험료 할증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고로 인한 자동차보험료 할증 1. 상담 내용 작년에 자동차 단독사고가 나서 자차처리를 했는데 200만 원 한도 내여서 할증이 없는 걸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자동차보험 갱신시기가 되어서 보험회사에서 전화가 왔는데 작년에 비해 보험료가 30% 이상 올랐습니다. 10년간 무사고였다가 대물 한도 내에서 1회만 보험 처리했.. 2023. 1. 14.
728x90